투자공부
[기업분석] <2. 재무제표 보는 법>
하드보일드인터뷰
2025. 8. 4. 04:30
아래는 야후파이낸스의 기업정보 화면입니다.
미국기업의 정보를 볼 수 있는 곳은 여러 곳이 있지만
초보자가 보기엔 야후파이낸스가 직관적이고 편리한 것 같습니다.
기업정보는 아래와 같이 검색할 수 있습니다.
yahoo finance 접속 -> 페이지 내 검색창에 기업검색 -> (좌측메뉴) stastics
https://finance.yahoo.com/quote/AAPL/key-statistics/
애플을 예로 들어 설명합니다.
<참고 : 항목 뒤에 붙은 약자는 다음을 뜻합니다>
ttm: 지난 12개월 기준 (Trailing Twelve Months)
mrq: 가장 최근 분기 기준 (Most Recent Quarter)
yoy: 전년 동기 대비 (Year Over Year)
lfy: 직전 회계연도 (Last Fiscal Year)
fye: 회계연도 마감일 (Fiscal Year Ending)
🔹 1. Valuation Measures (가치 평가 지표)
Market Cap | 회사의 전체 가치 = 주가 × 주식 수. 애플은 약 3조 달러 규모. |
Enterprise Value | 기업 전체의 실제 몸값. (시장가치 + 부채 - 현금 등). 지금 당장 기업을 인수할 때 필요한 금액 |
Trailing P/E | 지난 1년의 수익 기준으로 본 PER. 주가가 순이익보다 얼마나 비싼지. |
Forward P/E | 앞으로 1년 예측 수익 기준 PER. 미래 수익을 기대할 때 사용. |
PEG Ratio | PER ÷ 성장률. 1보다 작으면 저평가된 성장주로 해석 가능. |
Price/Sales (P/S) | 주가가 매출에 비해 얼마나 비싼지. 숫자가 낮을수록 저렴한 편. |
Price/Book (P/B) | 주가가 순자산(자본)에 비해 얼마나 비싼지. |
Enterprise Value/Revenue | 기업가치를 매출로 나눈 수치. |
Enterprise Value/EBITDA | 기업가치를 영업현금창출력으로 나눈 수치. 낮을수록 좋음. |
PER(주가수익비율) | 주가가 순이익의 몇 배인지 | ⛔ 너무 높으면 과대평가, 낮다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님 | 15~25 사이가 적정 (업종에 따라 다름) | 애플 Forward PER: 25.97 → 약간 비싼 수준 |
PEG Ratio | PER ÷ 성장률. 성장 대비 주가의 적정성 | ✅ 1 이하가 이상적 | 1 이하면 저평가, 2 이상이면 고평가일 수 있음 | 애플: 1.89 → 약간 고평가된 성장주 |
Price/Sales (P/S) | 매출 대비 주가 비율 | ⛔ 너무 높으면 비쌈 | 1~3 일반적 / 5 이상은 성장주에서 보임 | 애플: 7.48 → 프리미엄 기업으로서 높은 평가 |
Price/Book (P/B) | 자산 대비 주가 비율 | ⛔ 너무 높으면 자산대비 과대평가 | 1~3 일반적 / 10 이상은 성장 기대 반영 | 애플: 45.6 → 자산보다 브랜드, 수익력이 가치의 핵심 |
🔹 2. Financial Highlights (재무 요약)
Fiscal Year Ends: 9/28/2024 | 애플의 2024년 회계연도는 2023년 10월~2024년 9월. 문서의 연간 데이터(예: 매출 408.62B, ROE 149.81%)는 이 기간을 기반으로 합니다. |
Most Recent Quarter (mrq) | 6/28/2025: 애플의 가장 최근 분기는 2025년 4월~6월. 문서의 분기별 데이터(예: 현금 55.37B, 분기 성장률 9.6%)는 이 시점의 정보를 반영합니다. |
Profit Margin | 매출에서 실제로 남는 이익 비율. 24.3%면 100만 원 벌어 24만 원 남는 셈. |
Operating Margin | 영업이익률. 영업 활동만으로 얼마나 벌었는지. |
Return on Assets (ROA) |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쓰고 있는지. |
Return on Equity (ROE) | 주주 자본 대비 얼마나 이익을 내는지. 149%는 매우 높음. |
Profit Margin(순이익률) | 매출 중 실제 이익이 차지하는 비율 | ✅ 높을수록 좋음 | 10% 이상이면 우량20% 이상이면 매우 우수 | 애플은 **24.3%**로 매우 높은 수익성 보유 |
Operating Margin(영업이익률) | 영업활동만으로 남긴 이익 비율 | ✅ 높을수록 좋음 | 10~15% 이상이면 양호 | 애플은 **29.99%**로 탁월한 수준 |
ROA(총자산이익률) | 자산을 얼마나 잘 활용해 이익을 냈는지 | ✅ 높을수록 좋음 | 5~10% 이상이면 양호 | 애플은 24.55% → 매우 효율적 자산 운용 |
ROE(자기자본이익률) | 주주 자본으로 이익을 얼마나 냈는지 | ✅ 높을수록 좋음, 너무 높으면 부채비율도 확인 | 10~20% 이상이면 우량 | 애플은 149.81% → 매우 높음 (자본대비 큰 이익) |
Revenue | 매출. 애플은 1년 매출이 4,000억 달러 이상. |
Revenue Per Share | 1주당 매출. |
Quarterly Revenue Growth | 전년 대비 분기 매출 증가율. |
Gross Profit | 총이익. 재료비 빼고 남은 돈. |
EBITDA | 현금 기반 이익. 세금·이자·감가상각 제외한 수익성 지표. |
Net Income Available to Common | 보통주 주주에게 돌아가는 순이익. |
EPS (Earnings Per Share) | 1주당 이익. |
Quarterly Earnings Growth | 분기 순이익 증가율. |
Total Cash | 보유 현금. 애플은 약 550억 달러 보유. |
Cash Per Share | 1주당 보유 현금. |
Total Debt | 전체 부채. |
Debt/Equity | 부채가 자본의 몇 %인지. 100% 넘으면 다소 위험 신호일 수 있음. |
Current Ratio | 단기 자산 ÷ 단기 부채. 1보다 작으면 단기 지급 능력이 약간 떨어짐. |
Book Value Per Share | 1주당 자산 가치. 실제 청산 시 가치라고 보면 됨. |
Debt/Equity(부채비율) | 자본 대비 부채 비율 | ⛔ 너무 높으면 위험 | 100% 이하가 안정, 200% 넘으면 점검 필요 | 애플: 154.49% → 다소 높지만 현금흐름 좋음 |
Current Ratio(유동비율) | 단기 자산 ÷ 단기 부채 | ✅ 1 이상이 안정적 | 1.5~2가 이상적, 1 미만은 주의 | 애플: 0.87 → 유동성 면에서는 다소 낮음 |
*단기자산 : 현금과 1년 이내 현금화 할 수 있는 자산(매출채권, 재고자산 등)
Operating Cash Flow | 실제 영업활동에서 들어온 현금. |
Levered Free Cash Flow | 이자 비용까지 감안하고 남은 현금. 투자와 배당 재원으로 중요. |
🔹 3. Trading Information (거래 관련 정보)
Beta | 변동성 지표. 1이면 시장과 비슷, 1.2면 시장보다 변동성 큼. |
52 Week Change | 최근 1년간 주가 변화율. |
S&P500 52-Week Change | 같은 기간 동안 시장(S&P 500)의 평균 수익률. |
52 Week High/Low | 1년간 최고가 / 최저가. |
50-Day / 200-Day Moving Average | 단기 / 장기 평균 주가. 추세 판단에 사용. |
Beta (5Y) | 변동성. 1보다 크면 시장보다 흔들림이 큼 | 1 이면 시장과 같음 | 0.8~1.2 사이가 일반적 | 애플: 1.20 → 시장보다 살짝 더 민감한 편 |
Avg Volume (3mo/10day) | 평균 거래량. 3개월 / 10일 기준. |
Shares Outstanding | 총 발행 주식 수. |
Implied Shares Outstanding | 전환 가능한 모든 주식을 포함한 수. |
Float | 일반인이 사고팔 수 있는 주식 수. |
% Held by Insiders | 임원 등 내부자가 가진 비율. |
% Held by Institutions | 기관 투자자가 가진 비율. |
Shares Short | 공매도 중인 주식 수. |
Short Ratio | 공매도 잔고 ÷ 일평균 거래량. |
Short % of Float | 유통 주식 중 공매도 비율. |
*기관투자자 : 연기금 (국민연금 등), 자산운용사(투자신탁 회사), 보험회사은행, 헤지펀드
Short Ratio | 공매도 물량 ÷ 일평균 거래량 | ⛔ 높으면 하락 압력 우려 | 3 이상이면 경계 신호 | 애플: 1.74 → 비교적 안정적인 수치 |
Forward Annual Dividend Rate | 앞으로 1년 동안 예상되는 주당 배당금. 단위는 달러. |
Forward Dividend Yield | 위 금액이 현재 주가의 몇 %인지. |
Trailing Dividend Rate / Yield | 지난 1년 동안 실제 받은 배당금과 수익률. |
5-Year Average Dividend Yield | 최근 5년간 평균 배당수익률. |
Payout Ratio | 회사가 번 돈 중 배당으로 주는 비율. |
Dividend Date | 실제 배당금 입금 날짜. |
Ex-Dividend Date | 이 날짜에 주식을 가지고 있어야 배당을 받을 수 있어요. |
Last Split Factor / Date | 주식 액면분할 비율과 날짜 (예: 4:1 = 주식 1주 → 4주로 쪼개짐). |
Dividend Yield(배당수익률) | 주가 대비 배당금 수익률 | ✅ 높을수록 수익률 좋음 | 2~6%가 일반적 고배당 | 애플: 0.51% → 배당보다는 성장 중심 기업 |
5Y Avg Dividend Yield | 최근 5년간 평균 배당수익률 | 참고용 | 꾸준히 유지되면 안정적 | 애플: 0.55% → 낮지만 꾸준함 |
Payout Ratio(반복) | 배당을 어느 정도 이익에서 쓰는지 | 📊너무 높으면 위험 | 30~60% 이상은 위험 가능성 | 애플: 15.33% → 매우 안정적이고 여유 있음 |
Footnotes (주석)
- Refinitiv에서 제공한 데이터
- EDGAR Online에서 제공한 데이터
- 여러 출처에서 가져오거나 Yahoo Finance가 계산한 데이터
- Morningstar, Inc.에서 제공한 데이터
- 발행 주식 수는 가장 최근 분기 또는 연간 보고서에서 가져왔으며, 시가총액은 발행 주식 수를 사용해 계산됨
- 모든 전환 가능한 자회사 주식이 보통주로 전환된다고 가정했을 때의 암묵적 발행 주식 수
- EBITDA는 S&P Global Market Intelligence가 자체 방법론을 사용해 계산했으며, 회사가 보고한 방식과 다를 수 있음
- 회사의 유동주식(float)은 공개적으로 거래 가능한 주식 수를 의미하며, 발행 및 유통 중인 주식 수에서 거래가 제한된 주식을 뺀 값으로 계산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