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렌 버핏은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하고 성공적인 투자자 중 한 명으로(아마 모르시는 분이 없을 듯) 그의 핵심 투자전략은 가치투자(Value Investing)입니다.

이 전략은 단순히 싼 종목을 고르는 것이 아니라, 가치 대비 가격이 저평가된 훌륭한 기업을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그는 일반 개인 투자자가 이와 같은 방식으로 투자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말했죠.

대부분의 사람은 시장을 이기기 어렵다. 그냥 시장 전체에 투자하라.

시장 전체에 투자하는 것. 바로 인덱스 투자(Index Investing) 입니다.

그는 매년 수수료가 낮은 S&P 500 인덱스 펀드에 꾸준히 투자하라고 반복해서 조언해 왔습니다


🧭 S&P 500 인덱스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뉴욕증권거래소와 나스닥에 상장된 미국을 대표하는 500개 대형 기업의 주가를 묶어 만든 시장 평균 지수입니다.(단위는 포인트)

그리고 ETF는 이 지수를 그대로 따라가게 설계된 투자 상품입니다. 직접 종목을 고를 필요 없이 “미국 시장 전체에 투자”하는 효과가 있습니다.(S&P 500에 포함된 500대 기업의 시가총액은 미국 전체 주식 시장의 약 70~80%에 해당)

 

네이버에 S&P 500를 검색했을 때 나오는 화면. 6,328.56포인트

 


✅ 실전 투자 방법 (5단계)

1️⃣  S&P 500 ETF 고르기

전 세계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ETF는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 종목처럼 거래가 가능합니다.(참고로 미국에 상장된 ETF는 4,300개가 넘습니다.)

이름 티커 운용사 특징
VOO VOO Vanguard 버핏이 자주 언급하는 ETF, 저비용
SPY SPY State Street 최초의 S&P 500 ETF, 거래량 많음
IVV IVV iShares (BlackRock) 수수료 낮고 안정적

📌 셋 다 거의 비슷한 수익률, 장기적으로 보유해도 괜찮아요.

초보자라면 VOO 추천

 


 

2️⃣ 증권 계좌 개설

해외 ETF는 국내 증권사 앱에서도 쉽게 살 수 있습니다.

 

📱 예시 증권사:

  • 키움증권
  • 미래에셋
  • NH투자증권
  • 삼성증권
  • 한국투자증권
  • (모두 미국 주식 거래 지원)

👉 ‘해외 주식 거래 계좌’ 개설하고, 외화 환전 또는 원화로 매수 가능한지 확인하세요.

 

 

3️⃣ 정기적으로 투자하기 (DCA)

❝ 타이밍 재지 말고, 정기적으로 일정 금액씩 투자하라 ❞ – 워렌 버핏

 

📌 DCA (Dollar Cost Averaging):

  • 매달 혹은 매주 정해진 금액으로 꾸준히 매수
  • 시장이 올라도, 떨어져도 계속 사기
  • 평단가를 자동으로 조절 → 리스크 분산 효과

 

💡 예시

  • 매달 30만 원씩 VOO 매수
  • 10년 동안 꾸준히 투자

 

4️⃣  장기 보유 (절대 팔지 않기)

S&P 500은 장기적으로 항상 우상향했습니다.

 

📈 연평균 수익률(역사 평균): 약 8~10%

📉 일시적으로 폭락할 수 있지만, 10~20년 후엔 대부분 회복 + 상승

 

✅ 손해 보지 않는 법:

  • 주가 떨어질 때 놀라지 말고, 그냥 더 사기
  • 급락장이 기회일 수 있다

 

 

5️⃣  세금, 환율, 배당 체크

항목 설명
세금 미국 ETF는 배당소득세 15% 원천징수 + 국내 배당세 일부 있음 (ETF 수익에 따라 다름)
환율 원화 → 달러로 환전해 투자. 환차익/환손 발생 가능
배당금 VOO 등은 분기마다 소액 배당 지급. 계좌에 현금으로 들어와요

 


🎁 실전 투자 팁

상황
처음이라 무서워요 금액을 줄이고 한 달에 5만~10만 원부터 시작해 보세요.
주가가 비싸요 ETF는 1주 단위로도 매수 가능, 일부 증권사는 소수점 매매도 지원
환율이 걱정돼요 장기 투자하면 환율 영향은 크게 줄어듭니다. 너무 신경 쓰지 마세요.
자동 매수 하고 싶어요 증권사 앱에서 정기 매수 설정 기능 사용 가능 (예: ‘자동 투자’, ‘스마트 주문’ 등)

 

 


개별종목을 분석하고 매수시점을 노리는는 것은 본업이 있는 일반투자자에겐 부담스러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매달 적금 넣듯이 ETF에 일정금액을 투자하는 것이 현실적으로는 최선의 전략일지도 모르겠네요.

만약 그렇게 하겠다면 더이상의 공부는 필요없겠죠.

하지만 저는 좀 더 공부해서 시장을 조금이나마 이겨보고 싶네요.

돈을 많이 벌고 싶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