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부터 서양미술사에 대한 개략적인 내용을 정리해보고 싶었습니다.

너무 깊게는 아니고 적당히 교양 차원에서 말입니다.

아래 내용은 제미나이의 답변을 편집한 글입니다.

글이 길어 주요 양식별로 나누어 포스팅합니다.

 

서양 미술사조 심층 탐구: 시대별 주요 흐름과 예술적 유산

 

🎨 서양 미술사의 흐름과 주요 시대 구분

 

서양 미술의 역사는 기원전 4 호모 사피엔스의 등장 이후 인류가 만든 조각품, 예를 들어 빌렌도르프의 비너스에서 시작된다. 이후 고대 미술은 미노아, 미케네 문명, 고대 그리스, 에트루리아, 고대 로마 미술을 포함하며, 시기는 대략 기원전 12세기부터 서기 4세기까지로 분류된다. 특히 고대 그리스 미술은 이상미, 균형미, 조화미, 비례와 질서를 강조하며 이상적인 인체미를 추구했다. 로마 미술은 그리스 미술의 영향을 받았으나, 콜로세움이나 개선문과 같은 실용적이고 장엄한 건축물과 철저한 사실주의 초상 조각이 특징으로 나타난다.

빌렌도르프의   비너스

 

그리스의 도기화

 

 

콜로세움

 

 

중세 미술은 4세기부터 14세기까지 비잔틴 미술, 로마네스크, 고딕 미술을 포함하며, 중심의 미술이 성행했던 시기이다. 로마네스크는 1000년경 기독교의 부흥과 함께 시작되었고, 고딕은 프랑스에서 로마네스크 양식에서 발전하여 자유와 공포라는 상반된 감정을 표현하는 양식으로 자리 잡았다.

 

중세 이후 르네상스 시대를 거치면서 서양 미술은 극적인 발전과 변화의 시기를 맞이하게 된다.

이후 근세 미술(바로크, 로코코, 고전주의, 낭만주의) 근대 미술(사실주의, 인상주의, 표현주의, 큐비즘 ) 연이어 발전하였으며, 특히 인상주의는 모더니즘 현대 미술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20세기 이후 미술은 포스트모더니즘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며 더욱 다양하고 복합적인 양상을 띠게 된다.

미술사의 방대한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 주요 시대와 사조를 다음 표에 간략하게 정리하였다.

 

 

서양 미술사 주요 시대 사조 개요

시대 구분 대략적인 연대 주요 사조/양식
선사 시대 기원전 4만년 ~ 기원전 4천년 선사 미술 (빌렌도르프의 비너스)
고대 기원전 3만년 ~ 서기 400 미노아 문명, 미케네 문명, 고대 그리스 미술, 에트루리아, 고대 로마 미술
중세 서기 500 ~ 1400 중세 초기, 비잔틴 미술, 로마네스크, 고딕
르네상스 1400 ~ 1600 초기 르네상스, 중기 르네상스, 후기 르네상스, 매너리즘
근세 14세기 ~ 19세기 바로크, 로코코, 고전주의, 신고전주의, 낭만주의, 아카데미시즘
근대 19세기 ~ 20세기 사실주의, 인상주의, 후기 인상주의, 상징주의, 아르누보, 표현주의, 큐비즘, 다다이즘, 초현실주의, 아트 20세기 이후 사조 포함

 

 

'교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양미술사 1] 르네상스  (10) 2025.08.07

 

🇺🇸 미국 증시 요약

① 거래소 종류와 특징

  • NYSE (뉴욕증권거래소)
    • 세계 최대 규모, 오래된 역사
    • 안정적인 대형 기업 중심
    • 상장 요건 까다롭고 규제 엄격
  • NASDAQ (나스닥)
    • 기술 중심 기업이 많음 (빅테크 기업)
    • 빠른 성장을 추구하는 기업들에게 인기
    • 전자 기반 거래 시스템
  • AMEX (아메리칸 증권거래소)
    • 소규모 및 성장 초기 기업 위주
    • ETF 및 파생 상품 거래가 활발
    • 현재는 NYSE American으로 통합 운영

 

 

② 각 거래소 상장 기업 수 (2025년 기준 추정)

거래소상장 기업 수

NYSE 약 2,200개
NASDAQ 약 3,500개
AMEX 약 480개

※ 수치는 변화 가능성이 있으며, 정확한 집계는 거래소 공식 자료 확인 필요

 


③ 각 거래소 총 시가총액 (2025년 기준 추정)

거래소총 시가총액 (USD 기준)

NYSE 약 35~40조 달러
NASDAQ 약 30~35조 달러
AMEX 수천억 ~ 1조 달러 수준

※ 시가총액은 시장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동되며, 위 수치는 추정치입니다.

 

 


2025년 8월 기준으로 정리한 NYSE와 NASDAQ 주요 기업 20개.

🏛️ NYSE 주요 기업 TOP 20 (시가총액 기준)

1 TSMC TSM 기술 $1,194B
2 버크셔 해서웨이 BRK.A 금융 $1,031B
3 JP모건체이스 JPM 금융 $797B
4 월마트 WMT 소비재 $753B
5 일라이 릴리 LLY 헬스케어 $711B
6 비자 V 금융 $679B
7 오라클 ORCL 기술 $647B
8 마스터카드 MA 금융 $499B
9 엑슨모빌 XOM 에너지 $497B
10 존슨앤존슨 JNJ 헬스케어 $377B
11 프록터앤갬블 PG 소비재 $368B
12 홈디포 HD 소비재 $368B
13 SAP SAP 기술 $353B
14 뱅크오브아메리카 BAC 금융 $351B
15 애브비 ABBV 헬스케어 $339B
16 코카콜라 KO 소비재 $301B
17 필립모리스 PM 소비재 $280B
18 유나이티드헬스 UNH 헬스케어 $275B
19 제너럴 일렉트릭 GE 산업재 $272B
20 셰브론 CVX 에너지 $269B

 

NYSE

 

💻 NASDAQ 주요 기업 TOP 20 (시가총액 기준)

1 엔비디아 NVDA 기술 $4,052B
2 마이크로소프트 MSFT 기술 $3,740B
3 애플 AAPL 기술 $3,153B
4 아마존 AMZN 소비재 $2,388B
5 알파벳 (구글) GOOGL 커뮤니케이션 $2,192B
6 메타 플랫폼스 META 커뮤니케이션 $1,804B
7 브로드컴 AVGO 기술 $1,290B
8 테슬라 TSLA 소비재 $1,009B
9 넷플릭스 NFLX 커뮤니케이션 $529B
10 코스트코 COST 소비재 $430B
11 ASML ASML 기술 $318B
12 시스코 시스템즈 CSCO 기술 $269B
13 티모바일 TMUS 커뮤니케이션 $258B
14 AMD AMD 기술 $237B
15 아스트라제네카 AZN 헬스케어 $223B
16 인튜이트 INTU 기술 $208B
17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TXN 기술 $200B
18 부킹홀딩스 BKNG 소비재 $186B
19 펩시코 PEP 소비재 $185B
20 인튜이티브 서지컬 ISRG 헬스케어 $183B

 

NASDAQ

 

📌 요약 비교

항목NYSENASDAQ

항목 NYSE NASDAQ
산업 성격 안정적·전통 산업 기술·혁신 중심
대표 섹터 금융, 헬스케어, 소비재 IT, 반도체, 커뮤니케이션
투자 성향 보수적·배당 중심 성장·변동성 중심

 


🏭 미국 증시 산업 섹터 분포 (GICS 기준)

미국 증시는 총 11개 섹터로 구성되며, 각 섹터는 경제 상황에 따라 다르게 반응합니다:

정보기술 (IT)  31% 애플, 엔비디아, MS S&P500 비중 28%, 성장 중심
헬스케어  13% 존슨앤존슨, 화이자, 유나이티드헬스 경기 방어적, 배당 우수
금융  11% JP모건, 비자, 뱅크오브아메리카 금리 영향 , 경기 민감
임의소비재  10% 아마존, 테슬라, 나이키 경기 호황  강세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8% 구글, 메타, 넷플릭스 미디어·SNS 중심
산업재  8% 보잉, GE 제조·건설·방산 포함
필수소비재  6% 코카콜라, 월마트, 프록터앤갬블 경기 불황에도 안정적
에너지  4% 엑슨모빌, 쉐브론 유가 영향 , 고배당
유틸리티  3% 넥스트에라에너지, 듀크에너지 인프라 중심, 정책 영향
부동산 (REITs)  2.5% 리얼티인컴, 에퀴닉스  배당, 금리 민감
원자재  2% 뉴몬트, BHP 변동성 , 경기 순환 민감

 

 

정보기술 섹터가 압도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이는 AI·반도체·클라우드 산업의 성장과 관련이 깊습니다.
헬스케어와 금융은 경기 방어성과 안정성으로 인해 꾸준한 비중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에너지·원자재·부동산은 경기 민감도가 높아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지만, 특정 시기엔 강세를 보이기도 합니다.

 

 

 

 

 

EBITDA는 많은 투자자와 분석가들이 기업의 “실제 영업 능력”을 판단할 때 자주 사용하는 지표입니다.
한마디로 말하면:

“회사가 본업으로 현금 얼마나 잘 버는지를 보여주는 숫자”입니다.


✅ EBITDA

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이자, 세금, 감가상각비 차감 전 이익

 

🔍 쉽게 풀이하면:

EBITDA는 "복잡한 회계 처리나 재무구조는 빼고, 진짜 벌어들이는 돈만 보자"는 취지로 만든 지표예요.

구성요소를 하나씩 살펴보면:

항목 의미

Earnings 순이익 (Net Income)
+ Interest 이자비용 (회사마다 대출 다르니까 비교 어렵죠 → 제외)
+ Taxes 세금 (국가마다 다르니까 제외)
+ Depreciation 감가상각비 (기계·건물 가치가 매년 조금씩 줄어드는 회계처리)
+ Amortization 무형자산상각비 (특허권·브랜드 같은 자산의 가치 하락 처리)

 


 

 

📊 왜 EBITDA를 쓸까?

🔹 회사 본업만 보고 싶을 때 이자·세금·감가상각 등 외부 요소는 다 빼고, 진짜 영업활동에서 얼마 버는지 보려는 목적
🔹 비슷한 기업끼리 비교 국가, 세금제도, 회계처리가 달라도 공정하게 비교 가능
🔹 현금흐름에 가까움 순이익보다 현금창출력을 더 잘 반영

 

📌 예시로 보기 (단순화)

어떤 회사의 연간 수익이 아래와 같다면:

  • 순이익: 100억 원
  • 이자비용: 20억 원
  • 세금: 30억 원
  • 감가상각비: 40억 원
  • 무형자산 상각비: 10억 원

👉 EBITDA = 100 + 20 + 30 + 40 + 10 = 200억 원

 


 

🧮 어떻게 활용되나?

  • 기업 가치 평가:
    → EV/EBITDA (기업가치 ÷ EBITDA)는 PER과 비슷하게 기업이 비싼지 싼지를 보는 지표
  • 현금창출력 비교:
    → 스타트업이나 제조업 같이 감가상각이 큰 업종에서 특히 유용

 

 

❗주의할 점

EBITDA는 현금 창출력에 가까운 지표지만…

  • 실제로 ‘현금’은 아님 → 회계상의 조정치임
  • 이자나 세금은 실제로 내야 하는 돈 → EBITDA에는 반영되지 않음
  • 회계 조작에 악용될 여지 있음

그래서 투자자들은 EBITDA만 보지 않고, 현금흐름표, 영업이익, 순이익 등도 같이 봅니다.

 


 

📌  EV/EBITDA란?

**기업가치(Enterprise Value, EV)**를
**현금창출력(EBITDA)**으로 나눈 값이에요.

🔢 공식:

EV / EBITDA = 기업이 얼마나 비싼 가격에 거래되고 있는지

 

🧠 각각 용어를 쉽게 풀어보면:

항목 의미

EV (Enterprise Value) 시가총액 + 부채 - 현금 즉, 회사를 ‘통째로’ 인수할 때 드는 총 비용
EBITDA 회사가 본업으로 버는 ‘현금에 가까운 이익’

→ 즉, **“회사 전체를 사는 데 드는 돈 / 본업으로 1년에 버는 돈”**입니다.

 


 

✅ EV/EBITDA로 무엇을 알 수 있나?

  • 수치가 낮을수록 → "싸다" (저평가)
  • 수치가 높을수록 → "비싸다" (고평가)

📍 PER과 비슷한 개념이지만,

PER은 순이익 기준
EV/EBITDA는 현금창출력 기준

 

📊 예시로 비교해 보기

기업 EV EBITDA EV/EBITDA 해석

A사 10조 2조 5 저평가
B사 10조 1조 10 고평가
C사 10조 3조 3.3 매우 저평가

➡︎ C사가 제일 효율적으로 돈 벌고 있음.
같은 10조짜리 회사라도 현금창출력이 다르면 가치도 다르다!

 


🧭 참고: 업종별 평균 EV/EBITDA

산업 평균 범위 (대략)

IT/테크 10~20
소비재 8~12
제조업 5~10
유틸리티 6~9
바이오/스타트업 15~30 이상도 가능

애플 같은 경우는 최근 EV/EBITDA 약 24.5 수준 →
📌 테크 대장주 프리미엄이 반영된 고평가 영역입니다.

 

💬 마무리 요약

항목 정리

EV/EBITDA 기업이 실제로 돈 잘 버는지, 비싼 가격인지 보는 핵심 지표
낮을수록 싸다 / 효율적 / 매력적
높을수록 비싸다 / 프리미엄 반영 / 주의

 

1. Yahoo Finance

  • 주소: finance.yahoo.com
  • 소개: Yahoo Finance는 주식, 재무제표, 시장 뉴스 등을 무료로 제공하는 인기 있는 금융 사이트입니다. 애플(AAPL)의 재무제표(예: 매출 408.62B, 순이익률 24.3%)나 주요 비율(ROE 149.81%) 같은 데이터를 간결하게 정리해 보여줍니다. 문서의 데이터는 Yahoo Finance에서 가져온 것으로, 초보자에게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로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현금흐름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특징: 주가, 배당금, 애널리스트 평가, 공매도 비율(예: 0.63%) 등도 제공. "Financials" 탭에서 연간/분기별 데이터를 볼 수 있어요.
  • 장점: 무료이고 사용이 쉬워 초보자에게 적합.
  • 단점: 원본 보고서(10-K, 10-Q)보다는 요약된 데이터 제공.

2. Investing.com

  • 주소: www.investing.com
  • 소개: Investing.com은 주식, 재무제표, 차트, 애널리스트 리포트를 무료로 제공하는 글로벌 금융 플랫폼입니다. 애플의 재무 데이터(예: ROA 24.55%, 주당순이익 6.60달러) 같은 정보를 연간/분기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문서의 비율 데이터나 성장률(예: 분기 매출 성장률 9.6%)을 확인하기에 유용합니다.
  • 특징: 다양한 언어 지원, 주식뿐만 아니라 외환, 암호화폐 정보도 제공.
  • 장점: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무료로 많은 데이터 접근 가능.
  • 단점: 광고가 많을 수 있고, 심층 분석은 유료 구독 필요.

3. Bloomberg

  • 주소: www.bloomberg.com
  • 소개: Bloomberg는 금융 시장 뉴스, 주식 데이터, 재무제표를 제공하는 세계적인 금융 정보 플랫폼입니다. 애플의 재무제표(예: EBITDA 141.7B)나 시장 동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전문적인 분석이 강점입니다. 문서의 데이터와 비슷한 고급 지표를 볼 수 있지만, 일부 콘텐츠는 유료입니다.
  • 특징: 상세한 시장 분석, 기업별 뉴스, 블룸버그 터미널(유료)으로 전문 데이터 제공.
  • 장점: 신뢰도 높은 데이터와 심층 분석.
  • 단점: 무료 콘텐츠 제한적, 초보자에게 복잡할 수 있음.

4. Seeking Alpha

  • 주소: www.seekingalpha.com
  • 소개: Seeking Alpha는 투자자 커뮤니티와 전문가 분석을 중심으로 주식, 재무제표, 투자 아이디어를 제공합니다. 애플의 재무 데이터(예: 매출 408.62B, 공매도 비율 0.63%)를 확인하거나 투자자들의 의견을 볼 수 있습니다. 문서의 데이터와 비슷한 재무 요약을 제공하며, 애널리스트 리포트와 뉴스가 풍부합니다.
  • 특징: 투자자 논평, 포트폴리오 관리 도구, 일부 무료 콘텐츠.
  • 장점: 다양한 관점의 분석과 커뮤니티 의견 제공.
  • 단점: 상세 데이터나 고급 기능은 유료 구독 필요.

5. Finviz

  • 주소: www.finviz.com
  • 소개: Finviz는 주식 스크리너와 재무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사이트로, 애플 같은 기업의 주요 지표(예: P/B 비율, ROE 149.81%)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문서의 비율 데이터(예: P/S 7.48~9.87)를 빠르게 볼 수 있는 스크리너 기능이 강점입니다.
  • 특징: 주식 스크리너, 히트맵, 차트, 뉴스 요약.
  • 장점: 시각적이고 빠른 데이터 확인, 무료 기능 풍부.
  • 단점: 심층 재무제표는 제한적, 주로 요약 정보 제공.

이런걸 볼 수 있습니다


6. ETF.com

  • 주소: www.etf.com
  • 소개: ETF.com은 주로 상장지수펀드(ETF) 정보를 제공하지만, 애플 같은 주요 기업의 주식 데이터도 포함합니다. 문서의 재무 데이터(예: 주당 매출 27.17달러)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애플이 포함된 ETF(예: 기술주 ETF)를 분석할 때 유용합니다.
  • 특징: ETF 분석, 섹터별 주식 정보, 시장 동향.
  • 장점: ETF 투자에 관심 있는 초보자에게 유용.
  • 단점: 개별 기업 재무제표는 제한적, ETF 중심 정보.

7. TipRanks

  • 주소: www.tipranks.com
  • 소개: TipRanks는 애널리스트 평가, 주식 예측, 재무 데이터를 제공하는 사이트입니다. 애플의 재무 지표(예: 순이익률 24.3%)나 공매도 데이터(0.63%)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애널리스트의 매수/매도 추천을 볼 수 있습니다.
  • 특징: 애널리스트 평점, 주식 목표 가격, 배당 정보.
  • 장점: 투자 결정에 도움 되는 직관적 분석.
  • 단점: 일부 고급 기능은 유료, 재무제표 요약 위주.

8. The Wall Street Journal

  • 주소: www.wsj.com
  • 소개: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금융 뉴스와 함께 기업 재무제표, 주가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애플의 재무 데이터(예: 현금 55.37B)나 시장 분석을 확인할 수 있으며, 문서의 데이터와 유사한 정보를 뉴스와 함께 제공합니다.
  • 특징: 상세한 금융 뉴스, 주식 프로필, 시장 데이터.
  • 장점: 신뢰도 높은 뉴스와 데이터 조합.
  • 단점: 대부분 콘텐츠가 유료 구독 필요.

9. SEC EDGAR

  • 주소: www.sec.gov
  • 소개: SEC의 EDGAR는 미국 상장 기업(예: 애플)의 공식 재무제표(10-K 연간 보고서, 10-Q 분기 보고서)를 무료로 제공합니다. 문서의 데이터(예: 매출 408.62B, 순이익 99.28B)는 EDGAR에서 가져온 원본 정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문서 주석(PAGE 8)에서 언급된 EDGAR Online과 연결됩니다.
  • 사용 방법: "Company Filings"에서 AAPL 검색 후 10-K/10-Q 선택.
  • 장점: 가장 정확한 원본 데이터, 무료.
  • 단점: 초보자에게 복잡하고 영어 문서 위주.

10. 기업의 투자자 관계(IR) 웹사이트

  • 주소 (애플 예시): investor.apple.com
  • 소개: 애플 같은 상장 기업은 자사 IR 웹사이트에서 재무제표, 보도자료, SEC 공시를 제공합니다. 문서의 데이터(예: 현금 55.37B, 주당순이익 6.60달러)는 애플 IR 사이트에서 직접 확인 가능합니다. 기업별로 주소가 다르므로, 회사명 + "Investor Relations"로 검색하세요.
  • 특징: 연간/분기 보고서, 프레젠테이션, 보도자료.
  • 장점: 기업이 직접 제공하는 신뢰도 높은 정보.
  • 단점: 요약 데이터보다 원본 문서 위주, 기업별로 접근해야 함.

11. MarketWatch

  • 주소: www.marketwatch.com
  • 소개: MarketWatch는 주식, 재무제표, 시장 뉴스를 무료로 제공하며, 애플의 재무 데이터(예: ROA 24.55%, 분기 성장률 9.6%)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문서의 데이터와 유사한 요약 정보를 "Financials" 섹션에서 볼 수 있어요.
  • 특징: 주식 프로필, 뉴스, 재무 요약.
  • 장점: 초보자 친화적, 무료 데이터 풍부.
  • 단점: 심층 분석은 유료 구독 필요.

12. AnnualReports.com

  • 주소: www.annualreports.com
  • 소개: 이 사이트는 미국 및 글로벌 기업의 연간 보고서를 모아 제공합니다. 애플의 10-K 보고서나 문서의 데이터(예: EBITDA 141.7B)를 확인하기에 유용합니다. 문서 주석(PAGE 8)에서 언급된 출처와 연결될 수 있습니다.
  • 특징: 연간 보고서 전문, 검색 용이.
  • 장점: 한 곳에서 여러 기업의 보고서 확인 가능.
  • 단점: 일부 자료 제한적, 최신 데이터는 IR 사이트나 EDGAR 선호.

13. Stock Analysis

  • 주소: www.stockanalysis.com
  • 소개: Stock Analysis는 애플의 재무제표, 배당금, 기업 활동 데이터를 무료로 제공하며, 5년 치 재무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문서의 데이터(예: 주당 매출 27.17달러)를 쉽게 볼 수 있어 초보자에게 적합합니다. 유료 구독($9.99/월)으로 더 깊은 데이터 접근 가능.
  • 특징: 주식 스크리너, 재무 요약, 배당 정보.
  • 장점: 무료로 풍부한 데이터, 사용자 친화적.
  • 단점: 심층 데이터는 유료 구독 필요.

14. Mergent Archives

  • 주소: www.mergent.com 또는 www.mergentarchives.com
  • 소개: Mergent Archives는 1844년부터 현재까지의 역사적인 재무제표를 제공하며, 애플의 과거 데이터(예: 문서 주석에서 언급된 Mergent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문서의 공매도 데이터(0.63%) 같은 정보가 Mergent 출처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 특징: 역사적 데이터, 기업 보고서 아카이브.
  • 장점: 장기 데이터 분석에 유용.
  • 단점: 일부 데이터 유료, 초보자에게 복잡할 수 있음.

초보자를 위한 팁

  • 추천 시작점: Yahoo Finance, MarketWatch, Stock Analysis는 무료이고 초보자에게 쉬워요. 문서의 데이터(예: 순이익률 24.3%)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원본 데이터: SEC EDGAR나 애플 IR 사이트에서 10-K/10-Q 보고서를 다운로드하면 문서의 원본 데이터(예: 매출 408.62B)를 정확히 볼 수 있어요.
  • 주의점: 문서 주석(PAGE 8)에서 언급된 출처(Refinitiv, Morningstar 등)를 참고해 데이터 신뢰도를 확인하세요. 무료 사이트는 요약 데이터를 제공하니, 상세 정보는 EDGAR나 IR 사이트가 더 적합합니다.

 

 

 

 

 

'투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증권거래소와 섹터  (11) 2025.08.05
EBITDA 란 무엇인가?  (3) 2025.08.04
[기업분석] <2. 재무제표 보는 법>  (1) 2025.08.04
주식 투자의 전략들  (3) 2025.08.02
주가와 금리의 관계.  (2) 2025.07.31

아래는 야후파이낸스의 기업정보 화면입니다.

미국기업의 정보를 볼 수 있는 곳은 여러 곳이 있지만

초보자가 보기엔 야후파이낸스가 직관적이고 편리한 것 같습니다.

 

기업정보는 아래와 같이 검색할 수 있습니다.

yahoo finance 접속 -> 페이지 내 검색창에 기업검색 -> (좌측메뉴) stastics

https://finance.yahoo.com/quote/AAPL/key-statistics/

애플을 예로 들어 설명합니다.

 

<참고 : 항목 뒤에 붙은 약자는 다음을 뜻합니다>
ttm: 지난 12개월 기준 (Trailing Twelve Months)
mrq: 가장 최근 분기 기준 (Most Recent Quarter)
yoy: 전년 동기 대비 (Year Over Year)
lfy: 직전 회계연도 (Last Fiscal Year)
fye: 회계연도 마감일 (Fiscal Year Ending)

 

🔹 1. Valuation Measures (가치 평가 지표)

Market Cap 회사의 전체 가치 = 주가 × 주식 수. 애플은 약 3조 달러 규모.
Enterprise Value 기업 전체의 실제 몸값. (시장가치 + 부채 - 현금 등). 지금 당장 기업을 인수할 때 필요한 금액
Trailing P/E 지난 1년의 수익 기준으로 본 PER. 주가가 순이익보다 얼마나 비싼지.
Forward P/E 앞으로 1년 예측 수익 기준 PER. 미래 수익을 기대할 때 사용.
PEG Ratio PER ÷ 성장률. 1보다 작으면 저평가된 성장주로 해석 가능.
Price/Sales (P/S) 주가가 매출에 비해 얼마나 비싼지. 숫자가 낮을수록 저렴한 편.
Price/Book (P/B) 주가가 순자산(자본)에 비해 얼마나 비싼지.
Enterprise Value/Revenue 기업가치를 매출로 나눈 수치.
Enterprise Value/EBITDA 기업가치를 영업현금창출력으로 나눈 수치. 낮을수록 좋음.

 

PER(주가수익비율) 주가가 순이익의 몇 배인지  너무 높으면 과대평가, 낮다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님 15~25 사이가 적정 (업종에 따라 다름) 애플 Forward PER: 25.97 → 약간 비싼 수준
PEG Ratio PER ÷ 성장률. 성장 대비 주가의 적정성  1 이하가 이상적 1 이하면 저평가, 2 이상이면 고평가일 수 있음 애플: 1.89 → 약간 고평가된 성장주
Price/Sales (P/S) 매출 대비 주가 비율 ⛔ 너무 높으면 비쌈 1~3 일반적 / 5 이상은 성장주에서 보임 애플: 7.48 → 프리미엄 기업으로서 높은 평가
Price/Book (P/B) 자산 대비 주가 비율  너무 높으면 자산대비 과대평가 1~3 일반적 / 10 이상은 성장 기대 반영 애플: 45.6 → 자산보다 브랜드, 수익력이 가치의 핵심

 


🔹 2. Financial Highlights (재무 요약)

회계년도

Fiscal Year Ends: 9/28/2024 애플의 2024년 회계연도는 2023년 10월~2024년 9월.
문서의 연간 데이터(예: 매출 408.62B, ROE 149.81%)는 이 기간을 기반으로 합니다.
Most Recent Quarter (mrq) 6/28/2025: 애플의 가장 최근 분기는 2025년 4월~6월. 문서의 분기별 데이터(예: 현금 55.37B, 분기 성장률 9.6%)는 이 시점의 정보를 반영합니다.

 


수익성과 경영효율성

 

Profit Margin 매출에서 실제로 남는 이익 비율. 24.3%면 100만 원 벌어 24만 원 남는 셈.
Operating Margin 영업이익률. 영업 활동만으로 얼마나 벌었는지.
Return on Assets (ROA)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쓰고 있는지.
Return on Equity (ROE) 주주 자본 대비 얼마나 이익을 내는지. 149%는 매우 높음.

 

Profit Margin(순이익률) 매출 중 실제 이익이 차지하는 비율  높을수록 좋음 10% 이상이면 우량20% 이상이면 매우 우수 애플은 **24.3%**로 매우 높은 수익성 보유
Operating Margin(영업이익률) 영업활동만으로 남긴 이익 비율  높을수록 좋음 10~15% 이상이면 양호 애플은 **29.99%**로 탁월한 수준
ROA(총자산이익률) 자산을 얼마나 잘 활용해 이익을 냈는지  높을수록 좋음 5~10% 이상이면 양호 애플은 24.55% → 매우 효율적 자산 운용
ROE(자기자본이익률) 주주 자본으로 이익을 얼마나 냈는지  높을수록 좋음, 너무 높으면 부채비율도 확인 10~20% 이상이면 우량 애플은 149.81% → 매우 높음 (자본대비 큰 이익)




손익계산서

Revenue 매출. 애플은 1년 매출이 4,000억 달러 이상.
Revenue Per Share 1주당 매출.
Quarterly Revenue Growth 전년 대비 분기 매출 증가율.
Gross Profit 총이익. 재료비 빼고 남은 돈.
EBITDA 현금 기반 이익. 세금·이자·감가상각 제외한 수익성 지표.
Net Income Available to Common 보통주 주주에게 돌아가는 순이익.
EPS (Earnings Per Share) 1주당 이익.
Quarterly Earnings Growth 분기 순이익 증가율.

 

 

 


재무상태표

Total Cash 보유 현금. 애플은 약 550억 달러 보유.
Cash Per Share 1주당 보유 현금.
Total Debt 전체 부채.
Debt/Equity 부채가 자본의 몇 %인지. 100% 넘으면 다소 위험 신호일 수 있음.
Current Ratio 단기 자산 ÷ 단기 부채. 1보다 작으면 단기 지급 능력이 약간 떨어짐.
Book Value Per Share 1주당 자산 가치. 실제 청산 시 가치라고 보면 됨.
Debt/Equity(부채비율) 자본 대비 부채 비율  너무 높으면 위험 100% 이하가 안정, 200% 넘으면 점검 필요 애플: 154.49% → 다소 높지만 현금흐름 좋음
Current Ratio(유동비율) 단기 자산 ÷ 단기 부채 ✅ 1 이상이 안정적 1.5~2가 이상적, 1 미만은 주의 애플: 0.87 → 유동성 면에서는 다소 낮음

*단기자산 : 현금과 1년 이내 현금화 할 수 있는 자산(매출채권, 재고자산 등)


현금흐름표

Operating Cash Flow 실제 영업활동에서 들어온 현금.
Levered Free Cash Flow 이자 비용까지 감안하고 남은 현금. 투자와 배당 재원으로 중요.

 


🔹 3. Trading Information (거래 관련 정보)

 

주가 변동 내역

Beta 변동성 지표. 1이면 시장과 비슷, 1.2면 시장보다 변동성 큼.
52 Week Change 최근 1년간 주가 변화율.
S&P500 52-Week Change 같은 기간 동안 시장(S&P 500)의 평균 수익률.
52 Week High/Low 1년간 최고가 / 최저가.
50-Day / 200-Day Moving Average 단기 / 장기 평균 주가. 추세 판단에 사용.

 

Beta (5Y) 변동성. 1보다 크면 시장보다 흔들림이 큼 1 이면 시장과 같음 0.8~1.2 사이가 일반적 애플: 1.20 → 시장보다 살짝 더 민감한 편

 

 


 

주식 관련 통계

Avg Volume (3mo/10day) 평균 거래량. 3개월 / 10일 기준.
Shares Outstanding 총 발행 주식 수.
Implied Shares Outstanding 전환 가능한 모든 주식을 포함한 수.
Float 일반인이 사고팔 수 있는 주식 수.
% Held by Insiders 임원 등 내부자가 가진 비율.
% Held by Institutions 기관 투자자가 가진 비율.
Shares Short 공매도 중인 주식 수.
Short Ratio 공매도 잔고 ÷ 일평균 거래량.
Short % of Float 유통 주식 중 공매도 비율.

*기관투자자 : 연기금 (국민연금 ), 자산운용사(투자신탁 회사), 보험회사은행, 헤지펀드

Short Ratio 공매도 물량 ÷ 일평균 거래량 ⛔ 높으면 하락 압력 우려 3 이상이면 경계 신호 애플: 1.74 → 비교적 안정적인 수치

배당과 액면 분할

Forward Annual Dividend Rate 앞으로 1년 동안 예상되는 주당 배당금. 단위는 달러.
Forward Dividend Yield 위 금액이 현재 주가의 몇 %인지.
Trailing Dividend Rate / Yield 지난 1년 동안 실제 받은 배당금과 수익률.
5-Year Average Dividend Yield 최근 5년간 평균 배당수익률.
Payout Ratio 회사가 번 돈 중 배당으로 주는 비율.
Dividend Date 실제 배당금 입금 날짜.
Ex-Dividend Date 이 날짜에 주식을 가지고 있어야 배당을 받을 수 있어요.
Last Split Factor / Date 주식 액면분할 비율과 날짜 (예: 4:1 = 주식 1주 → 4주로 쪼개짐).
Dividend Yield(배당수익률) 주가 대비 배당금 수익률 ✅ 높을수록 수익률 좋음 2~6%가 일반적 고배당 애플: 0.51% → 배당보다는 성장 중심 기업
5Y Avg Dividend Yield 최근 5년간 평균 배당수익률 참고용 꾸준히 유지되면 안정적 애플: 0.55% → 낮지만 꾸준함
Payout Ratio(반복) 배당을 어느 정도 이익에서 쓰는지 📊너무 높으면 위험 30~60% 이상은 위험 가능성 애플: 15.33% → 매우 안정적이고 여유 있음

 

 


 

Footnotes (주석)
  1. Refinitiv에서 제공한 데이터
  2. EDGAR Online에서 제공한 데이터
  3. 여러 출처에서 가져오거나 Yahoo Finance 계산한 데이터
  4. Morningstar, Inc.에서 제공한 데이터
  5. 발행 주식 수는 가장 최근 분기 또는 연간 보고서에서 가져왔으며, 시가총액은 발행 주식 수를 사용해 계산됨
  6. 모든 전환 가능한 자회사 주식이 보통주로 전환된다고 가정했을 때의 암묵적 발행 주식
  7. EBITDA S&P Global Market Intelligence 자체 방법론을 사용해 계산했으며, 회사가 보고한 방식과 다를 있음
  8. 회사의 유동주식(float) 공개적으로 거래 가능한 주식 수를 의미하며, 발행 유통 중인 주식 수에서 거래가 제한된 주식을 값으로 계산됨

 

 


참고로 모바일에서 야후파이낸스 접속시 AI 분석(Analyze with AI)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투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증권거래소와 섹터  (11) 2025.08.05
EBITDA 란 무엇인가?  (3) 2025.08.04
[기업분석] <1. 미국주식 정보 어디서 찾나?>  (3) 2025.08.04
주식 투자의 전략들  (3) 2025.08.02
주가와 금리의 관계.  (2) 2025.07.3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