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어휘 (Day 5) - 발음기호 + 예문 + 한글 해석

동사 (Verbs)

  1. manipulate /məˈnɪpjuleɪt/ - 조작하다, 다루다
    • Scientists manipulate variables to test their hypotheses.
    • (과학자들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변수를 조작한다.)
  2. collaborate /kəˈlæbəreɪt/ - 협력하다, 공동작업하다
    • International teams collaborate to solve global challenges.
    • (국제 팀들이 전 지구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한다.)
  3. enhance /ɪnˈhæns/ - 향상시키다, 강화하다
    • The new software will enhance productivity in the workplace.
    • (새로운 소프트웨어는 직장에서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것이다.)
  4. utilize /ˈjuːtəlaɪz/ - 활용하다, 이용하다
    • The company plans to utilize renewable energy sources.
    • (회사는 재생에너지원을 활용할 계획이다.)
  5. interpret /ɪnˈtɜːrprət/ - 해석하다, 통역하다
    • Doctors interpret test results to diagnose patients.
    • (의사들은 환자를 진단하기 위해 검사 결과를 해석한다.)

명사 (Nouns)

  1. implementation /ˌɪmplɪmenˈteɪʃn/ - 실행, 이행
    •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policy begins next month.
    • (새로운 정책의 실행은 다음 달에 시작된다.)
  2. convention /kənˈvenʃn/ - 관례, 대회
    • The annual technology convention attracts thousands of visitors.
    • (연례 기술 대회는 수천 명의 방문객을 끌어들인다.)
  3. diversity /daɪˈvɜːrsəti/ - 다양성
    • Cultural diversity enriches our understanding of the world.
    • (문화적 다양성은 세상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풍부하게 한다.)
  4. innovation /ˌɪnəˈveɪʃn/ - 혁신, 새로운 아이디어
    • Innovation is key to staying competitive in today's market.
    • (혁신은 오늘날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는 핵심이다.)
  5. component /kəmˈpoʊnənt/ - 구성요소, 부품
    • Each component plays a vital role in the system's operation.
    • (각 구성요소는 시스템 운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형용사 (Adjectives)

  1. rigorous /ˈrɪɡərəs/ - 엄격한, 철저한
    • The university maintains rigorous academic standards.
    • (그 대학교는 엄격한 학업 기준을 유지한다.)
  2. efficient /ɪˈfɪʃnt/ - 효율적인
    • Electric cars are more efficient than traditional vehicles.
    • (전기차는 기존 차량보다 더 효율적이다.)
  3. complex /kəmˈpleks/ - 복잡한
    • The human brain is an incredibly complex organ.
    • (인간의 뇌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복잡한 기관이다.)
  4. transparent /trænsˈpærənt/ - 투명한, 명확한
    • The company aims to be transparent about its environmental impact.
    • (회사는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5. variable /ˈveriəbl/ - 변하기 쉬운, 가변적인
    • Weather conditions are highly variable in this region.
  • (이 지역의 날씨 조건은 매우 변하기 쉽다.)

부사/연결어 (Adverbs/Connectors)

  1. nonetheless /ˌnʌnðəˈles/ - 그럼에도 불구하고
    • The task was challenging; nonetheless, the team succeeded.
    • (그 과제는 어려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팀은 성공했다.)
  2. particularly /pərˈtɪkjələrli/ - 특히, 특별히
    • This method is particularly effective for young learners.
    • (이 방법은 특히 어린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이다.)
  3. considerably /kənˈsɪdərəbli/ - 상당히, 현저히
    • Sales have increased considerably since the product launch.
    • (제품 출시 이후 매출이 상당히 증가했다.)
  4. deliberately /dɪˈlɪbərətli/ - 의도적으로, 신중하게
    • The architect deliberately chose sustainable materials.
    • (건축가는 의도적으로 지속가능한 재료를 선택했다.)
  5. subsequently /ˈsʌbsəkwəntli/ - 그 후에, 이어서
    • The company expanded to Europe; subsequently, profits doubled.
    • (회사는 유럽으로 확장했고, 그 후 이익이 두 배가 되었다.)

복습 체크 (Day 1-4)

다음 단어들의 뜻과 발음을 기억하고 계신가요?

  • Day 1: analyze /ˈænəlaɪz/, perspective /pərˈspektɪv/
  • Day 2: acquire /əˈkwaɪər/, phenomenon /fəˈnɑːmənən/
  • Day 3: facilitate /fəˈsɪləteɪt/, methodology /ˌmeθəˈdɑːlədʒi/
  • Day 4: anticipate /ænˈtɪsəpeɪt/, infrastructure /ˈɪnfrəstrʌktʃər/

오늘의 학습 팁

  • collaborate vs cooperate: collaborate는 더 적극적이고 창조적인 협력을 의미합니다
  • enhance vs improve: enhance는 이미 좋은 것을 더 좋게 만든다는 뉘앙스
  • rigorous는 '엄격한' 외에도 '정확하고 철저한'이라는 의미로 학술 분야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실전 연습

다음 문장을 완성해보세요: "The research team will _______ (협력하다) to _______ (향상시키다) the effectiveness of the new treatment."

정답: collaborate, enhance

Week 1 완료!

축하합니다! 첫 번째 주를 완료하셨습니다. 지금까지 100개의 핵심 어휘를 학습하셨어요. 주말에는 1-5일차 어휘를 전체적으로 복습해보시기 바랍니다!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어휘 7  (0) 2025.08.22
오늘의 어휘 6  (0) 2025.08.22
오늘의 어휘 4  (4) 2025.08.07
오늘의 어휘 3  (8) 2025.08.06
오늘의 어휘 2  (3) 2025.08.05

 

 

네, 유상증자(有償增資, Paid-in Capital Increase)가 주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유상증자의 기본 개념

  • 유상증자란 기업이 새로운 주식을 발행해 주주(기존 주주나 일반 투자자)에게 돈을 받고 파는 것입니다.
  • 즉, 회사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자기 자본을 늘리는 행위입니다.
  • 주로 부채 상환, 신규 사업 투자, 운영자금 확보 등을 위해 진행됩니다.

2. 주가에 미치는 영향

(1) 단기적 영향

  • 희석 효과(Dilution Effect)
    발행 주식 수가 늘어나므로 주당 이익(EPS)이 줄어듦 → 보통 주가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
  • 발행가 할인
    유상증자 신주 발행가는 보통 시가보다 할인된 가격에 책정됩니다.
    → 유상증자 공시가 나오면, 주가가 신주 발행가 근처로 하향 조정되는 경우가 많음.

(2) 중장기적 영향

  • 긍정적 시나리오
    유상증자로 조달한 자금을 성장성이 높은 사업 투자, 부채 감축 등에 잘 활용하면 → 기업가치 상승 → 주가 회복 및 상승 가능.
  • 부정적 시나리오
    자금 사용 목적이 불명확하거나, 기존 적자를 메우는 등 경영 악화의 신호로 비칠 경우 → 투자심리 악화로 주가 하락 지속.

3. 실제 사례

  • 성장 기업: 테슬라(Tesla)는 과거 여러 차례 유상증자를 했지만, 자금을 전기차 생산 확대와 배터리 연구에 투자해 기업가치가 커졌습니다 → 주가는 장기적으로 상승.
  • 부실 기업: 한국의 일부 건설사·중소형사들은 부채 상환이나 적자 보전에 유상증자를 했는데, 이 경우는 시장에서 **“위기 신호”**로 받아들여져 주가가 계속 하락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4. 요약

  • 단기적: 희석 효과 + 발행가 할인으로 인해 주가 하락 가능성이 높음.
  • 중장기적: 조달 자금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주가 반등 또는 추가 하락으로 갈림.
  • 투자자 관점: 유상증자 뉴스가 나오면,
    ① 발행 목적, ② 자금 규모, ③ 발행가, ④ 향후 사업 전망
    → 이 네 가지를 꼭 확인해야 함.

 

아주 핵심을 짚으셨습니다 👍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1차 시장(Primary Market) vs 2차 시장(Secondary Market)

  • 1차 시장: 기업이 직접 새 주식을 발행해 투자자에게 판매 → 이때 기업으로 돈이 들어옵니다. (IPO, 유상증자 등)
  • 2차 시장: 이미 발행된 주식이 투자자들끼리 사고파는 거래(코스피, 나스닥 등에서의 매매) → 이때 거래되는 돈은 투자자 간 이동일 뿐, 기업에 직접 유입되지 않음.

즉, 주식 발행은 자금조달, 일반적인 주가 매매는 기업의 현금흐름과 무관합니다.


2. 그렇다면 주가가 기업에 왜 중요할까?

겉으로 보면 말씀하신 대로, 주가가 오르든 내리든 당장 회사 금고의 돈은 변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주가가 기업 활동에 상당한 영향을 줍니다.

(1) 추가 자금조달 능력

  • 주가가 높으면 → 유상증자·전환사채 발행 등을 할 때 적은 지분 희석으로도 큰 돈을 조달 가능.
  • 주가가 낮으면 → 같은 금액을 조달하려 해도 훨씬 많은 신주를 찍어야 하므로 기존 주주 반발 + 희석 효과 커짐.

(2) 인재 확보와 보상(스톡옵션)

  • 기술기업(예: 구글, 엔비디아)은 스톡옵션을 많이 씁니다.
  • 주가가 높아야 임직원이 스톡옵션에서 큰 이익을 보므로 우수 인재 확보·유지에 유리.

(3) 인수·합병(M&A)

  • 주가가 높으면, 자사 주식을 “화폐”처럼 사용해 다른 회사를 인수할 수 있음.
  • 반대로 주가가 낮으면 인수에 불리.

(4) 기업 이미지와 신뢰도

  • 주가가 꾸준히 하락하면 → “이 회사 미래가 불안하다”는 인식이 커져 협력사, 은행, 투자자 신뢰에 악영향.
  • 신용평가·대출조건에도 영향을 줌.

3. 결론

맞습니다.

  • **일반 투자자 매매(2차 시장)**는 기업 현금흐름에 직접적 영향 없음.
  • 하지만 주가 수준 자체가 기업의 자금조달력, 인재 확보, M&A 전략, 시장 신뢰도에 직결되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도 매우 중요합니다.

👉 정리하면, “기업 금고에 바로 돈이 들어오는 건 1차 시장(IPO, 유상증자 등)”이고, “2차 시장의 주가 변동은 간접적이지만 기업의 장기 성장 전략에 매우 중요한 변수”입니다.

혹시 원하시면 제가 “왜 테슬라는 적자 상태에서도 주가가 높아서 유리했는지” 실제 사례로 연결해서 설명드릴까요?

 

 

좋습니다. 테슬라(Tesla) 사례를 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1. 테슬라의 상황 (2010년대 중반~2020년 초)

  • 테슬라는 오랫동안 연속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 전기차 시장이 아직 초기였고, 매출은 늘어도 차량 생산 비용과 투자 지출이 더 컸기 때문입니다.
  • 전통적 기준(순이익, PER)으로 보면 투자 매력이 낮은 회사였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계속 올라갔습니다.


2. 높은 주가가 준 이점

(1) 유상증자에서 유리

  • 테슬라는 자주 **신주 발행(유상증자)**을 했습니다.
  • 주가가 높으니, 적은 지분 희석만으로도 수십억 달러를 조달 가능했습니다.
    • 예: 2020년 초에만 20억 달러 이상 유상증자를 했고, 같은 해 말에도 50억 달러를 또 조달.
    • 하지만 시가총액 대비 비중이 작아 기존 주주 희석 부담이 크지 않았음.

(2) 부채 상환 + 성장 투자

  • 확보한 현금을 바탕으로 공장(Gigafactory) 건설, 배터리 연구개발, 생산라인 확충을 진행했습니다.
  • 덕분에 적자 기업이지만 부채 디폴트 위험을 줄이고, 미래 성장성을 강화할 수 있었죠.

(3) 스톡옵션 효과

  • 주가 상승 → 임직원 스톡옵션 가치 급등 → 인재 확보·유지에 유리.
  • 특히 소프트웨어·배터리 분야의 인재들이 테슬라로 몰림.

(4) M&A 및 파트너십 협상력 강화

  • 주가가 높아 시총이 커지면 “미래가치가 크다”는 인식 확산.
  • 실제로 테슬라는 배터리 공급 계약, 자율주행 AI 인수 등에 있어서 높은 주가 덕분에 유리한 조건으로 협상 가능.

3. 결과적으로

  • 테슬라는 적자 상태에서도 주가가 높았기 때문에 생존 + 공격적 확장이 가능했습니다.
  • 만약 주가가 낮았다면 → 같은 금액을 조달하기 위해 엄청난 수의 신주를 발행해야 했을 것이고, 주주 반발 + 자금조달 실패 가능성이 컸을 겁니다.

즉, “높은 주가 = 강력한 자금조달 수단” 이라는 점을 테슬라가 잘 보여준 사례입니다.


✅ 정리하면, 2차 시장 주가가 기업 금고를 직접 채우진 않지만, 테슬라 사례처럼 높은 주가는

  1. 유상증자 유리,
  2. 투자·연구개발 확대,
  3. 인재 확보,
  4. 협상력 강화
    등을 가능하게 해 주었고, 결과적으로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었습니다.

 

'투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장의 과열 지표들  (2) 2025.08.24
투자자산의 종류와 상관관계  (1) 2025.08.24
ETF  (5) 2025.08.08
파운드리? 그게 뭐죠?  (8) 2025.08.07
관세가 무역, 경제, 주가에 미치는 영향  (3) 2025.08.06

워렌 버핏은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하고 성공적인 투자자 중 한 명으로(아마 모르시는 분이 없을 듯) 그의 핵심 투자전략은 가치투자(Value Investing)입니다.

이 전략은 단순히 싼 종목을 고르는 것이 아니라, 가치 대비 가격이 저평가된 훌륭한 기업을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그는 일반 개인 투자자가 이와 같은 방식으로 투자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말했죠.

대부분의 사람은 시장을 이기기 어렵다. 그냥 시장 전체에 투자하라.

시장 전체에 투자하는 것. 바로 인덱스 투자(Index Investing) 입니다.

그는 매년 수수료가 낮은 S&P 500 인덱스 펀드에 꾸준히 투자하라고 반복해서 조언해 왔습니다


🧭 S&P 500 인덱스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뉴욕증권거래소와 나스닥에 상장된 미국을 대표하는 500개 대형 기업의 주가를 묶어 만든 시장 평균 지수입니다.(단위는 포인트)

그리고 ETF는 이 지수를 그대로 따라가게 설계된 투자 상품입니다. 직접 종목을 고를 필요 없이 “미국 시장 전체에 투자”하는 효과가 있습니다.(S&P 500에 포함된 500대 기업의 시가총액은 미국 전체 주식 시장의 약 70~80%에 해당)

 

네이버에 S&P 500를 검색했을 때 나오는 화면. 6,328.56포인트

 


✅ 실전 투자 방법 (5단계)

1️⃣  S&P 500 ETF 고르기

전 세계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ETF는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 종목처럼 거래가 가능합니다.(참고로 미국에 상장된 ETF는 4,300개가 넘습니다.)

이름 티커 운용사 특징
VOO VOO Vanguard 버핏이 자주 언급하는 ETF, 저비용
SPY SPY State Street 최초의 S&P 500 ETF, 거래량 많음
IVV IVV iShares (BlackRock) 수수료 낮고 안정적

📌 셋 다 거의 비슷한 수익률, 장기적으로 보유해도 괜찮아요.

초보자라면 VOO 추천

 


 

2️⃣ 증권 계좌 개설

해외 ETF는 국내 증권사 앱에서도 쉽게 살 수 있습니다.

 

📱 예시 증권사:

  • 키움증권
  • 미래에셋
  • NH투자증권
  • 삼성증권
  • 한국투자증권
  • (모두 미국 주식 거래 지원)

👉 ‘해외 주식 거래 계좌’ 개설하고, 외화 환전 또는 원화로 매수 가능한지 확인하세요.

 

 

3️⃣ 정기적으로 투자하기 (DCA)

❝ 타이밍 재지 말고, 정기적으로 일정 금액씩 투자하라 ❞ – 워렌 버핏

 

📌 DCA (Dollar Cost Averaging):

  • 매달 혹은 매주 정해진 금액으로 꾸준히 매수
  • 시장이 올라도, 떨어져도 계속 사기
  • 평단가를 자동으로 조절 → 리스크 분산 효과

 

💡 예시

  • 매달 30만 원씩 VOO 매수
  • 10년 동안 꾸준히 투자

 

4️⃣  장기 보유 (절대 팔지 않기)

S&P 500은 장기적으로 항상 우상향했습니다.

 

📈 연평균 수익률(역사 평균): 약 8~10%

📉 일시적으로 폭락할 수 있지만, 10~20년 후엔 대부분 회복 + 상승

 

✅ 손해 보지 않는 법:

  • 주가 떨어질 때 놀라지 말고, 그냥 더 사기
  • 급락장이 기회일 수 있다

 

 

5️⃣  세금, 환율, 배당 체크

항목 설명
세금 미국 ETF는 배당소득세 15% 원천징수 + 국내 배당세 일부 있음 (ETF 수익에 따라 다름)
환율 원화 → 달러로 환전해 투자. 환차익/환손 발생 가능
배당금 VOO 등은 분기마다 소액 배당 지급. 계좌에 현금으로 들어와요

 


🎁 실전 투자 팁

상황
처음이라 무서워요 금액을 줄이고 한 달에 5만~10만 원부터 시작해 보세요.
주가가 비싸요 ETF는 1주 단위로도 매수 가능, 일부 증권사는 소수점 매매도 지원
환율이 걱정돼요 장기 투자하면 환율 영향은 크게 줄어듭니다. 너무 신경 쓰지 마세요.
자동 매수 하고 싶어요 증권사 앱에서 정기 매수 설정 기능 사용 가능 (예: ‘자동 투자’, ‘스마트 주문’ 등)

 

 


개별종목을 분석하고 매수시점을 노리는는 것은 본업이 있는 일반투자자에겐 부담스러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매달 적금 넣듯이 ETF에 일정금액을 투자하는 것이 현실적으로는 최선의 전략일지도 모르겠네요.

만약 그렇게 하겠다면 더이상의 공부는 필요없겠죠.

하지만 저는 좀 더 공부해서 시장을 조금이나마 이겨보고 싶네요.

돈을 많이 벌고 싶습니다.

오늘의 어휘 (Day 4) - 발음기호 + 예문 + 한글 해석

동사 (Verbs)

  1. anticipate /ænˈtɪsəpeɪt/ - 예상하다, 기대하다
    • Economists anticipate steady growth in the technology sector.
    • (경제학자들은 기술 부문에서 꾸준한 성장을 예상한다.)
  2. investigate /ɪnˈvestɪɡeɪt/ - 조사하다, 수사하다
    • Researchers investigate the causes of climate change.
    • (연구자들은 기후변화의 원인을 조사한다.)
  3. evaluate /ɪˈvæljueɪt/ - 평가하다, 검토하다
    • The committee will evaluate all proposals carefully.
    • (위원회는 모든 제안서를 신중하게 평가할 것이다.)
  4. incorporate /ɪnˈkɔːrpəreɪt/ - 포함하다, 통합하다
    • The new design incorporates feedback from customers.
    • (새로운 디자인은 고객들의 피드백을 포함한다.)
  5. sustain /səˈsteɪn/ - 지속하다, 유지하다
    • Companies must find ways to sustain long-term growth.
    • (기업들은 장기적 성장을 지속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

명사 (Nouns)

  1. correlation /ˌkɔːrəˈleɪʃn/ - 상관관계
    • Studies show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 and income.
    • (연구들은 교육과 소득 사이의 강한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2. infrastructure /ˈɪnfrəstrʌktʃər/ - 인프라, 기반시설
    • The city needs to upgrade its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 (그 도시는 교통 인프라를 개선해야 한다.)
  3. integration /ˌɪntɪˈɡreɪʃn/ - 통합, 융합
    • The integration of technology in education has transformed learning.
    • (교육에서의 기술 통합이 학습을 변화시켰다.)
  4. priority /praɪˈɔːrəti/ - 우선순위, 중요한 것
    • Employee safety is the company's top priority.
    • (직원 안전이 회사의 최우선 과제이다.)
  5. strategy /ˈstrætədʒi/ - 전략, 계획
    • The marketing strategy focuses on social media engagement.
    • (마케팅 전략은 소셜미디어 참여에 중점을 둔다.)

형용사 (Adjectives)

  1. comprehensive /ˌkɑːmprɪˈhensɪv/ - 종합적인, 포괄적인
    • The report provide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market trends.
    • (보고서는 시장 동향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를 제공한다.)
  2. innovative /ˈɪnəveɪtɪv/ - 혁신적인, 창의적인
    • The company is known for its innovative approach to problem-solving.
    • (그 회사는 문제 해결에 대한 혁신적인 접근법으로 유명하다.)
  3. fundamental /ˌfʌndəˈmentl/ - 근본적인, 기본적인
    • Trust is fundamental to any successful business relationship.
    • (신뢰는 성공적인 비즈니스 관계의 근본이다.)
  4. accessible /əkˈsesəbl/ - 접근 가능한, 이용하기 쉬운
    • The new app makes banking services more accessible to everyone.
    • (새로운 앱은 모든 사람이 은행 서비스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한다.)
  5. optimal /ˈɑːptɪməl/ - 최적의, 가장 좋은
    • Exercise in the morning provides optimal health benefits.
    • (아침 운동은 최적의 건강상 이점을 제공한다.)

부사/연결어 (Adverbs/Connectors)

  1. simultaneously /ˌsaɪməlˈteɪniəsli/ - 동시에
    • The software can process multiple tasks simultaneously.
    • (그 소프트웨어는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2. essentially /ɪˈsenʃəli/ - 본질적으로, 기본적으로
    • The problem is essentially about poor communication.
    • (그 문제는 본질적으로 의사소통 부족에 관한 것이다.)
  3. subsequently /ˈsʌbsəkwəntli/ - 그 후에, 나중에
    • The company launched the product in Asia; subsequently, sales doubled.
    • (회사는 아시아에서 제품을 출시했고, 그 후 매출이 두 배가 되었다.)
  4. approximately /əˈprɑːksɪmətli/ - 대략, 약
    • The project will take approximately six months to complete.
    • (그 프로젝트는 완료되는 데 약 6개월이 걸릴 것이다.)
  5. exclusively /ɪkˈskluːsɪvli/ - 독점적으로, 오직
    • This feature is exclusively available to premium users.
    • (이 기능은 오직 프리미엄 사용자들에게만 제공된다.)

복습 체크 (Day 1-3)

다음 단어들을 기억하고 계신가요?

  • Day 1: analyze, establish, significant, particularly
  • Day 2: implement, phenomenon, substantial, ultimately
  • Day 3: facilitate, implication, crucial, therefore

오늘의 학습 팁

  • anticipate vs expect: anticipate는 더 적극적으로 준비하며 기대한다는 뜻
  • infrastructure는 물리적 시설뿐 아니라 시스템, 구조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 simultaneously는 발음이 어려우니 천천히 연습해보세요: /saɪ-məl-teɪ-ni-əs-li/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어휘 6  (0) 2025.08.22
오늘의 어휘 5  (0) 2025.08.20
오늘의 어휘 3  (8) 2025.08.06
오늘의 어휘 2  (3) 2025.08.05
오늘의 어휘 1  (2) 2025.08.04

삼성전자가 지난달 말 테슬라와 22조7648억원(165억 달러) 규모의 초대형 파운드리 공급 계약을 따냈다는 기사가 났습니다. 그런데 파운드리(Foundry)란 뭘까요? 

 

 

🏭 파운드리(Foundry)란?

파운드리는 반도체 산업에서 설계는 하지 않고, 오직 제조(생산)만 담당하는 회사 또는 사업부를 뜻합니다. 쉽게 말해:

💡 “설계는 너희가 하고, 우리는 네가 설계한 칩을 만들어줄게.”
이게 바로 파운드리의 역할입니다.

 

⚙️ 반도체 산업의 역할 구분

역할 설명 대표 기업

팹리스(Fabless) 반도체 설계만 전문으로 하는 회사 NVIDIA, AMD, Qualcomm, 테슬라 (칩 자체는 설계함)
파운드리(Foundry) 반도체 생산만 전문으로 하는 회사 TSMC, 삼성 파운드리
IDM (통합 업체) 설계와 생산을 모두 하는 회사 인텔, 삼성(메모리·파운드리·설계 일부 병행)

※ "Fab"은 반도체 생산공장(Fabrication Plant)의 줄임말

 

📦 테슬라와 삼성 파운드리 계약, 왜 중요한가?

  1. 테슬라는 자율주행칩을 직접 설계하지만, 이를 만들 수 있는 공장은 없어요.
  2. 삼성 파운드리는 테슬라가 설계한 고성능 칩을 실제 웨이퍼(반도체 원판)에 구현합니다.
  3. 이 계약은 테슬라의 **FSD(완전 자율주행 시스템)**에 들어갈 차세대 칩을 양산하는 것으로 추정돼요.
  4. TSMC와 경쟁 중인 삼성에겐 대형 고객 확보라는 의미도 있습니다.

 

🧠 비유로 쉽게 설명하면:

  • 팹리스: 건축 설계사
  • 파운드리: 건축 시공사
  • IDM: 설계도 그리고 건물도 짓는 종합건설사

테슬라가 설계도를 그렸고, 삼성이 건물을 짓는 겁니다.

 


내친김에 1. 파운드리 산업의 전망 2. 삼성과 TSMC 비교 3. 두 기업외에 파운드리 업체가 또 있는지도 물어보았습니다.


1.  파운드리 산업의 전망

✅ 성장 배경

  • 팹리스(Fabless) 기업 증가: 애플, 테슬라, 엔비디아처럼 설계만 하고 생산은 위탁하는 기업이 늘어남.
  • AI·자율주행·IoT·스마트폰 확산: 고성능·고효율 반도체 수요 폭증
  • 초미세공정(3nm, 2nm) 경쟁: 기술 장벽이 높아지면서 소수의 파운드리만 살아남는 구조

📊 전망

항목 내용
시장 규모 2023년 약 1400억 달러 → 2028년 2500억 달러 이상 예상
성장률 연평균 성장률(CAGR) 약 9~10%
수익성 미세공정 기술력이 핵심 → 선두 업체 독과점 구조 강화

🔍 핵심 포인트

  • 하이엔드 공정(3nm 이하): 고성능 반도체 (AI, 자율주행칩 등)에 사용 → 수익성 높음
  • Legacy 공정(28nm 이상): 가전, 자동차용 → 가격 민감, 경쟁 심화

 

2. 🥇 삼성전자 vs TSMC 비교

 

항목 TSMC(대만) 삼성(한국)
시장 점유율 약 55~60% (1위) 약 12~15% (2위)
강점 전 세계 고객 기반 (애플, 엔비디아, AMD 등), 안정적 수율 기술력, 메모리 반도체와의 시너지, 자체 제품 생산 경험
약점 오직 파운드리만 하므로 메모리 등에서 수익 다변화 어려움 고객 다변화 부족, 수율 문제 지적 있었음
최신 공정 3nm 양산 중, 2nm 개발 중 3nm GAA 공정 세계 최초 양산 (2022)
생산 규모 월 140만장 이상 (12인치 웨이퍼 기준) 월 80~100만장 수준 추정
고객사 애플, AMD, 퀄컴, 엔비디아 등 테슬라, 구글, 퀄컴, IBM 등

📌 요약:

  • TSMC는 안정성·신뢰성에서 절대 강자, 글로벌 고객을 광범위하게 확보.
  • 삼성은 기술력은 앞서지만, 수율 문제와 고객 부족이 과제. 그러나 3nm GAA 기술은 의미 있는 기술적 진전.

 

3. 🤝 삼성·TSMC 외의 주요 파운드리 업체

업체명 국가 특징
GlobalFoundries 미국 IBM 반도체 부문 인수, 12~90nm 중간급 공정 위주
SMIC (중국) 중국 중국 최대 파운드리, 14nm까지 양산 가능, 미국 제재로 첨단 공정 어려움
UMC 대만 TSMC 다음가는 대만 업체, 28nm 등 Legacy 공정 중심
Tower Semiconductor 이스라엘 아날로그·전력 반도체 전문, 인텔이 인수 시도했으나 무산

참고:

  • **고급 공정(3~5nm)**은 사실상 TSMC와 삼성만 가능.
  • **중저가·레거시 공정(28nm~65nm 등)**은 UMC, GF, SMIC 등이 경쟁.

 

✅ 결론 요약

  • 파운드리 산업은 고성능 반도체 수요 증가로 지속 성장할 전망.
  • TSMC는 신뢰성과 고객층에서 우위, 삼성은 기술 선도와 통합 역량 강점.
  • 그 외 중위권 업체들은 레거시 공정에 집중하며 시장 틈새를 공략 중.

 

nm에 대해서도 물어보았습니다.


🧪 1. nm(나노미터)란 무엇인가?

  • nm = 나노미터 = 10⁻⁹미터 = 10억 분의 1미터
  • 머리카락 굵기가 약 70,000~100,000nm
  • DNA 이중 나선의 폭은 약 2.5nm

즉, nm는 매우 매우 작은 거리 단위이며, 반도체에서는 트랜지스터의 크기나 간격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 2. 반도체에서 nm가 의미하는 것

과거에는 트랜지스터 게이트 길이(switch처럼 작동하는 회로의 길이)를 정확히 나타냈지만,
지금은 마케팅적 표현에 가깝습니다. 하지만 의미는 여전히 명확합니다:

nm가 작을수록더 많은 트랜지스터를 같은 면적에 집어넣을 수 있음

이건 곧:

  • 성능 향상 (더 빠른 연산)
  • 전력 효율 개선 (배터리 수명 증가, 발열 감소)
  • 작은 크기의 칩 제작 가능

 

📉 3. nm가 작아질수록 어떤 변화가?

공정 특징 적용 사례
5nm 고성능, 고집적, 낮은 전력 소비 스마트폰 AP, 고성능 AI 칩
3nm 더 작고 빠른 트랜지스터, GAA 구조 등장 최신 자율주행칩, 모바일 프로세서
2nm 개발 중, 성능 + 전력 효율 혁신 기대 차세대 AI 서버, 양자 컴퓨팅까지 염두

📌 이론적으로는 nm가 작을수록 좋지만,
공정이 복잡해지고 **수율(정상 작동 칩 비율)**이 낮아져 제조 난이도가 급격히 올라갑니다.

 

⚠️ 주의: nm = 성능 순위는 아님

같은 3nm라 해도:

  • TSMC의 3nm vs 삼성의 3nm는 실제 성능·전력 효율·수율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 따라서 단순 숫자보다는 공정의 실제 완성도와 신뢰성이 더 중요합니다.

 

✅ 요약

항목 내용

nm 뜻 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
반도체에서의 의미 트랜지스터 크기·밀도 표현
nm가 작을수록 고성능, 저전력, 고집적 칩 제작 가능
실제 의미 마케팅 요소도 있지만, 기술 발전의 상징적 단위

 

 


유튜브에 nm을 검색해서 발견한 영상을 첨부합니다.

기술적인 부분을 모두 이해할 수는 없지만

본문중에 쓰여있던 내용, nm가 최근에는 왜 마케팅적 용어인지, 또 GAA가 무엇인지 쉽게 설명해주시네요.

차분하고 꼼꼼한 설명이 맘에 들어 구독을 눌렀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ij6Rk8peX9Q

 

 

 

'투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상증자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  (0) 2025.08.20
ETF  (5) 2025.08.08
관세가 무역, 경제, 주가에 미치는 영향  (3) 2025.08.06
미국 증권거래소와 섹터  (11) 2025.08.05
EBITDA 란 무엇인가?  (3) 2025.08.04

+ Recent posts